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서울 버스 6624

덤프버전 :

||


파일:6624그린시티.jpg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일평균 승차인원
5. 연계 철도역
6. 둘러보기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서울특별시 휘장_White.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4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파일:서울 6624 노선도.png
기점경기도 부천시 고강동(국립과학수사연구소.고강동종점)종점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(이대목동병원.목동6단지)
종점
첫차05:00기점
첫차05:37
막차23:40막차00:14
평일배차6~12분주말배차토요일 7~12분 / 공휴일 8~14분
운수사명중부운수인가대수19대(예비 1대)[1]
노선국립과학수사연구소.고강동종점 - 중부운수 - 신월동문화체육센터 - 강서초등학교 - 신정네거리역 - 서울남부지방법원.서울남부지방검찰청 → 양천구청.양천보건소 → 목동10단지 → 양천구청역 → 목동14단지 → 신정2동주민센터 → 목동대학학원 → 목운초등학교.목운중학교 → 목동5단지.목5동주민센터 → 이대목동병원.목동6단지 → 월촌중학교 → 목동1.2단지사잇길 → 신목중학교 → 목동3.4단지사잇길 → CBS방송국 → 오목교역.청학스포츠타운 → 목동중학교.서울출입국사무소 → 목동14단지 → 양천구청역 → 목동12.13단지 → 양천구청 → 목동8단지 → 서울남부지방법원.서울남부지방검찰청 → 이후 역순


2. 개요[편집]


중부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, 왕복 운행거리는 24.1km다.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  • 구 457번 지역순환버스(국립과학수사연구소 - 이대목동병원)가 전신이다. 그 이전에는 7번 마을버스로 운행했었다.

  •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6624번으로 바뀌었다.

  • 2006년 9월 1일부로 이대목동병원 내부의 버스정류장이 폐쇄되어 병원 내부에 진입하지 않게 되었다.

  • 2018년 10월 1일부터 일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 2회 감회되었다.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.관련 공문

  • 2021년 2월 18일 열린 정기노선조정 심의 결과 이대목동병원.목동6단지에서 월촌중학교.목동1단지 방면으로 운행할 때 안양천로를 경유하도록 하는 조정안이 가결되어 동년 3월 27일을 기해 시행되었다.관련 변경안

  • 2021년 7월 8일을 기해 평일/토요일/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회되고, 평일/토요일/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6회/4회/3회씩 감회되었다.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각각 6~10분/8~13분이었던 평일/공휴일의 배차간격이 6~12분/8~14분으로 늘어났다.(단, 토요일의 경우 최소/최대 배차간격 변동 없음)관련 공문1관련 공문2

  • 2022년 2월 28일을 기해 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, 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00회에서 98회로 2회 감회되었다.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공휴일 최소/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없었다.관련 공문


4. 특징[편집]


  • 비공식 양천구 투어버스다.[2]

  • 목동아파트 3~4단지 주민들에게는 오목교역에 갈 때 가장 편한 노선이며, 목동 7.11단지를 제외한 목동아파트의 모든 단지를 연결한다.

  • 기본적으로 목동아파트 일대에서의 통학 및 지하철 연계 수요가 높고 여기에 유일하게 중부운수 차고지 서쪽으로 서울과학수사연구소(구 과학수사본부) 및 부천시 고강동 입구까지 운행하다보니 부천 58번과의 환승 연계 수요도 있다. [3]

  • 차량 대기는 종점 정류장 지나자마자 존재하는 상가에서 이 노선 전용으로 총 3대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, 이 곳에서 대기 및 정차하면서 휴식한다.[4][5]

  • 이 노선 덕분에 고강본동 은행단지 마을에서 서울로 나가는 사람들은 대부분 화곡역이 아닌 신정네거리역을 이용한다.

  • 전기충전소가 설치되지 않은 관계로 전기 충전시설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에서 예외로 인정받았다.


4.1. 일평균 승차인원[편집]


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4번
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
2013년12,088명-
2014년11,216명▽ 872
2015년11,112명▽ 104
2016년10,757명▽ 355
2017년10,459명▽ 298
2018년10,502명△ 43
2019년10,236명▽ 266
2020년7,546명▽ 2,690
2021년7,520명▽ 26
2022년7,888명△ 368
※ 하차 인원 미포함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  • 파일:Seoulmetro2_icon.svg 서울 지하철 2호선: 신정네거리역, 양천구청역
  • 파일:Seoulmetro5_icon.svg 수도권 전철 5호선: 오목교역[6]


6. 둘러보기[편집]



파일:노란바탕휠체어빗금.svg
파일:서울특별시 휘장_White.svg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예외 (가)승인 노선
[ 펼치기 · 접기 ]

103104172774
0017101410171114
1119112211261129
1130113111331136
1137114111421143
1162116412211226
2113211421154318
4433551956216617
6624664966547024
77268003
{{{-2 비고 * 2023년도 기준 38개 노선 * 시설개량 및 의견수렴 후 2024년도 재검토 예정
* 4318번은 풍납동 소속 차량만 해당}}}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03 03:14:41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662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토요일 15대 / 공휴일 14대 운행[2] 노선 구조상 목동아파트단지의 일방통행 도로 구조의 영향으로 빙글빙글 돌아가는 구간이 많아서 헷갈리기 쉽기 때문. 특히 목동중심축도로 구간에서 빙글빙글 도는 부분이 많다.[3] 단, 58, 58-1번과 종점 정류장에서 바로 연계 되지는 않고 30M 정도 걸어야 한다. 58, 58-1번은 상가 뒷편으로 지나가기 때문[4] 비슷하게 5621번이 이런 식으로 운영되는 중이다.[5] 여담으로 이 상가는 부천시 고강동에 위치해있으며, 종점과 10m도 떨어져있지 않는데도 지자체가 달라진다. 6624번이 부천시 땅을 밟냐 안 밟냐의 논란이 나오는 원인 중 하나인 셈.[6] 이대목동병원 방향은 목동대학학원(오목교역 1번 출구), 목운초등학교 목운중학교 하차 신월동 방향은 오목교역 청학스포츠타운 하차